No hard feelings 섭섭하게 생각하지마 영어로

0
7

No hard feelings 섭섭하게 생각하지마 영어로 “No hard feelings”는 “섭섭하게 생각하지 마”, “괜찮아”, “앙금 남기지 말자”라는 뜻으로, 갈등이나 논쟁 후에 상대방에게 감정이 남아 있지 않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오해나 다툼이 있었더라도 그것을 뒤로 하고 관계를 유지하고 싶을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No hard feelings 섭섭하게 생각하지마 영어로

No hard feelings 섭섭하게 생각하지마 영어로
No hard feelings 섭섭하게 생각하지마 영어로

1. “No Hard Feelings”의 유래

 

‘아보다, 아는만큼 보인다.’에서 업로드한 동영상
“No Hard Feelings”의 유래

“Hard feelings”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강한 감정”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악감정” 또는 “불쾌한 감정”을 뜻합니다. “No hard feelings”는 18세기 후반부터 사용되었으며, 누군가와의 다툼이나 논쟁 후에도 감정이 남아 있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발전했습니다.

2. “No Hard Feelings”의 기본 의미

“No hard feelings”는 다툼이나 의견 충돌이 있었지만 상대방을 원망하지 않으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싶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는 사과를 하거나, 용서를 표시하거나, 감정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 “I know we had an argument, but no hard feelings, okay?”
    (우리 다툰 거 알지만, 섭섭하게 생각하지 마, 알겠지?)
  • “You beat me fair and square. No hard feelings!”
    (너 공정하게 나를 이겼어. 섭섭하게 생각 안 해!)
  • “I had to choose someone else for the project, but no hard feelings, right?”
    (내가 프로젝트에 다른 사람을 선택했지만, 기분 나빠하지 않길 바라.)

3. “No Hard Feelings”의 다양한 활용

https://youtube.com/shorts/XNYNUg8LYJo

– YouTube

www.youtube.com

 

  • 오해 풀기: 논쟁 후에 감정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표현할 때.
    예: “I’m sorry I disagreed with you earlier. No hard feelings?”
    (아까 네 의견에 반대한 거 미안해. 기분 나쁘지 않지?)
  • 경쟁 후: 경기, 게임, 또는 승부 후에도 감정을 남기지 않음을 표현할 때.
    예: “You won the match, but no hard feelings. You played well.”
    (네가 경기에서 이겼지만, 섭섭하게 생각하지 않아. 정말 잘했어.)
  • 결정을 내릴 때: 누군가를 선택하거나 배제해야 하는 상황에서 상대방이 기분 나쁘지 않기를 바랄 때.
    예: “I had to go with another supplier, but no hard feelings, I hope.”
    (다른 공급업체를 선택해야 했지만, 기분 나쁘지 않길 바라.)

4. 비슷한 표현과 비교

  • No offense: “기분 나빠하지 마”라는 뜻으로, 자신의 말이 공격적으로 들릴 수 있을 때 사용.
    예: “No offense, but I don’t really like that idea.”
    (기분 나쁘게 듣지 마, 하지만 난 그 아이디어가 별로야.)
  • Don’t take it personally: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마”라는 뜻으로, 상대방이 상처받지 않도록 하는 표현.
    예: “I had to criticize your work, but don’t take it personally.”
    (네 작업을 비판해야 했지만,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마.)
  • Let’s bury the hatchet: “화해하자”라는 뜻으로, 싸움이나 논쟁을 끝내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자는 의미.
    예: “We argued yesterday, but let’s bury the hatchet.”
    (우리가 어제 다퉜지만, 이제 화해하자.)

5. 영어 회화에서의 활용

A: I feel bad about what I said earlier.
B: Don’t worry about it. No hard feelings.
(A: 아까 내가 한 말 때문에 미안해.
B: 걱정하지 마. 섭섭하게 생각하지 않아.)

A: I had to fire him for not meeting deadlines.
B: I hope there are no hard feelings.
(A: 마감일을 못 지켜서 그를 해고해야 했어.
B: 그가 기분 나쁘지 않길 바라.)

6. 사용 시 주의점

  • “No hard feelings”는 주로 친구, 동료, 또는 경기 후와 같은 캐주얼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공식적인 환경에서는 “I hope there are no misunderstandings” 또는 “I appreciate your understanding”과 같은 표현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7. 유의어 및 관련 표현

  • No offense
  • Don’t take it personally
  • Let’s bury the hatchet
  • It’s all good
  • We’re cool

8. 마무리

“No hard feelings”는 다툼, 논쟁, 경쟁 후에도 감정을 남기지 않고 관계를 유지하고 싶을 때 유용한 표현입니다. 상대방이 기분 나빠하지 않도록 하고 싶을 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일상 대화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이므로 적절한 상황에서 활용해 보세요!

no hard feelings, 영어 표현, 영어 회화, 화해 표현, 오해 풀기, 영어 학습, 대화 표현, 감정 조절, 관계 유지, 일상 영어

2024.08.27 – [언어/영어] – ‘플러팅’ ‘Flirting’ 이란?

Willy-nilly 마구잡이로 되는 대로 영어로 쉽게 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