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through vs go through 완벽 정리 | 원어민이 구분하는 진짜 차이

get through vs go through 완벽 정리 | 원어민이 구분하는 진짜 차이 “Get, set, go!”라는 달리기 구호처럼, 영어에는 출발과 과정을 나타내는 다양한 동사 표현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get through와 go through는 모두 ‘통과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뉘앙스로 쓰이죠. 저는 예전엔 두 단어를 구분 없이 사용했다가, 영어 원서를 읽으면서 이 둘의 차이를 뚜렷이 깨달았어요. 오늘은 그 차이를 감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드릴게요! 🏃‍♀️

get through vs go through 완벽 정리 영어 경주 구호 “Get, Set, Go!”처럼 비슷하지만 다른 두 표현의 차이를 아시나요? 이 글에서는 원어민이 실제로 구분해 쓰는 뉘앙스를 단계별로 분석해드립니다. 30개의 예문을 통해 감각적으로 이해하고, 상황별로 어떤 표현이 더 자연스러운지 함께 알아봅니다.

get through vs go through 완벽 정리 | 원어민이 구분하는 진짜 차이

1. through의 기본 이미지 — ‘문을 통과하는 느낌’ 🤔

get through vs go through 완벽 정리 | 원어민이 구분하는 진짜 차이

두 표현의 공통점은 전치사 through입니다. 이것은 ‘문을 통과한다’, 즉 어떤 경로를 지나가는 이미지예요. go through는 그 경로를 자연스럽게 따라가는 ‘단계의 이동’이고, get through는 장애물이나 어려움을 억지로 통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가 영어를 공부할 때 머릿속에 문 하나를 상상했어요. 문이 활짝 열려 있으면 go through, 문이 닫혀 있어 밀고 들어가야 하면 get through! 이렇게 그림으로 기억하면 훨씬 쉽답니다.

💡 알아두세요!
through는 ‘공간적 통과’뿐 아니라 ‘과정, 경험, 어려움’을 관통하는 의미로도 확장됩니다. 즉, go through는 경험·절차 중심, get through는 감정·문제 중심이라고 기억하세요.

2. go through — 성장과 과정의 이동 📊

go through는 ‘단계나 절차를 거치다’, ‘경험하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회사에서 승인 절차를 밟거나, 인생의 변화를 겪을 때 자주 사용되죠.

예를 들어 “I’m going through a tough time”은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이고, “We went through the report together”는 ‘리포트를 함께 검토했다’라는 뜻이에요. 즉, 시간이나 단계 속을 ‘지나가는 과정’에 초점이 있죠.

실제로 제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클라이언트 승인 단계를 go through 한다고 표현했는데, 팀원들이 ‘공식 절차’ 느낌이 강하다며 정확히 이해하더라고요.

go through 예문 요약

문장의미
We went through all the reports.모든 보고서를 검토했다
He went through a big change.큰 변화를 겪었다
The proposal has to go through approval.제안서는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3. get through — 장애물과 시련을 넘는 통과 🧗‍♀️

get through는 ‘극복하다, 버티다, 해내다’라는 뉘앙스입니다. 끝까지 가는 과정보다 장애물을 뚫는 힘이 강조되죠.

예를 들어 “I got through the exam”은 ‘시험을 통과했다’이지만, 단순 합격보다 ‘힘든 과정을 이겨냈다’는 감정이 담겨 있습니다. 또 “We’ll get through this together”는 위로의 말로 자주 쓰여요. 실제로 친구가 실직했을 때 이 말을 해줬더니 큰 위로가 되었다고 하더군요.

이 표현은 위기·감정적 어려움·업무 스트레스 등 ‘감정의 장벽’을 통과할 때 쓰면 자연스럽습니다.

💡 TIP: get through는 종종 전화 연결(“I couldn’t get through to him”)이나 업무 완료(“I got through all my tasks”)처럼 ‘성공적으로 끝내다’의 의미로도 확장됩니다.

4. 실제 사용 문맥 비교 ⚖️

30개의 예문을 분석해 보면, go through는 업무·절차·성장 과정에, get through는 감정·스트레스·위기 상황에 자주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는 “We need to go through the steps again”이라고 하지만, 친구가 힘든 일을 겪을 때는 “You’ll get through this”라고 하죠. 전자는 ‘과정의 재확인’, 후자는 ‘정서적 회복’을 의미합니다.

제가 외국인 동료와 대화할 때 “I’m getting through a lot lately”라고 했더니, 그는 단번에 ‘요즘 힘들지만 견디고 있구나’라고 이해했어요. 이처럼 맥락에 따라 감정선이 달라집니다.

5. 실전 영어에서 자연스럽게 구분하는 법 🚀

시험에서는 두 표현이 비슷하게 느껴지지만, 실제 영어에서는 ‘단계냐, 고난이냐’로 구분됩니다. 절차적이면 go through, 정서적이면 get through!

저는 회의 중에 “Let’s go through the slides”라고 말하고, 퇴근길엔 “Can’t wait to get through this week!”라고 말하죠. 전자는 업무 과정, 후자는 고난의 통과입니다. 이 감각을 익히면 영어가 훨씬 자연스러워집니다.

결국 go through는 ‘과정의 이동’, get through는 ‘장애의 돌파’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그 차이를 이해하면, 단어 하나에도 원어민의 감정이 느껴집니다. 🌟

💡

핵심 요약

✨ go through: 단계·절차를 거치며 성장하는 의미
💪 get through: 어려움을 이겨내는 힘에 초점
🌱 차이 요약: go는 ‘단계 진행’, get은 ‘결과 도달’
🗣️ 실전 팁: 절차면 go, 감정이면 get!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get through와 pass의 차이는?
둘 다 ‘통과하다’지만, pass는 결과 중심(시험 합격), get through는 과정 중심(힘들었지만 버텨낸)입니다.

Q2. go through는 감정에도 쓸 수 있나요?
네, “go through heartbreak”처럼 감정적 경험에도 사용하지만, 감정보다는 경험 자체에 초점을 둡니다.

Q3. get through은 전화 연결에도 쓰이나요?
맞아요! “I can’t get through to her”는 ‘전화가 연결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

Q4. 시험 영어에서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공식 절차·단계는 go through, 감정·고난·스트레스는 get through로 쓰면 자연스럽습니다.

Q5. 원어민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그들은 의식적으로 구분하지 않지만, 상황에 맞게 감각적으로 사용합니다. 우리도 ‘그림’으로 익히면 바로 감이 옵니다!

get through, go through, 영어 표현 차이, through 의미, 영어 회화, 영어 구동사, 영어 문법, 영어 뉘앙스, 실전 영어, 영어 예문

2023.11.23 – [언어/영어] – go through, go out 원어민처럼 예쁘게 쓰는 법 go 동사 표현

 

go through, go out 원어민처럼 예쁘게 쓰는 법 go 동사 표현

go 동사 표현 원어민이 아니라면 쉽게 쓰기 힘든 go through, go around를 예쁘게 쓰는 법을 배워봅니다. 지난 번에 정리한 이 go 동사 에 이어 go through, go out, 이외에도 go out, go over one’s head의 실전 활용

miracool65.tistory.com

댓글 남기기